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프로그래머스 팀에서는 기능 개선 작업을 수행 중입니다. 각 기능은 진도가 100%일 때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또, 각 기능의 개발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뒤에 있는 기능이 앞에 있는 기능보다 먼저 개발될 수 있고, 이때 뒤에 있는 기능은 앞에 있는 기능이 배포될 때 함께 배포됩니다.
먼저 배포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작업의 진도가 적힌 정수 배열 progresses와 각 작업의 개발 속도가 적힌 정수 배열 speeds가 주어질 때 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사항
- 작업의 개수(progresses, speeds배열의 길이)는 100개 이하입니다.
- 작업 진도는 100 미만의 자연수입니다.
- 작업 속도는 1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배포는 하루에 한 번만 할 수 있으며, 하루의 끝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진도율이 95%인 작업의 개발 속도가 하루에 4%라면 배포는 2일 뒤에 이루어집니다.
입출력 예
progresses | speeds | return |
[93, 30, 55] | [1, 30, 5] | 2, 1 |
95, 90, 99, 80, 99 | 1, 1, 1, 1, 1, 1 | 1, 3, 2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첫 번째 기능은 93%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7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두 번째 기능은 30%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30%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3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전 첫 번째 기능이 아직 완성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첫 번째 기능이 배포되는 7일째 배포됩니다.
세 번째 기능은 55%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5%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9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7일째에 2개의 기능, 9일째에 1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입출력 예 #2
모든 기능이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끝나기까지 남은 일수는 각각 5일, 10일, 1일, 1일, 20일, 1일입니다. 어떤 기능이 먼저 완성되었더라도 앞에 있는 모든 기능이 완성되지 않으면 배포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5일째에 1개의 기능, 10일째에 3개의 기능, 20일째에 2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풀이
진행도를 P, 스피드를 S로 주어졌을 때 문제를 정리하면
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1번 예제로 우리는 배포일 까지 남은 기간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제 배포일을 이용해서 문제를 정리하면
R1이 Rn보다 클 경우 Rn까지의 작업을 같이 배포하고 그 이외의 경우엔 단독으로 배포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코드로 작성해봅시다.
import java.util.*
import kotlin.math.ceil
class Solution {
fun solution(progresses: IntArray, speeds: IntArray): IntArray {
val answer = arrayListOf<Int>()
progresses.forEachIndexed { index, p ->
progresses[index] = ceil((100.0 - p) / speeds[index]).toInt()
}
...
return answer.toIntArray()
}
}
ceil함수를 이용해서 나눈 값을 올림시켜줍니다.
import java.util.*
import kotlin.math.ceil
class Solution {
fun solution(progresses: IntArray, speeds: IntArray): IntArray {
val answer = arrayListOf<Int>()
var acc: Queue<Int> = LinkedList<Int>()
...
for(i in progresses.indices){
//맨 처음 없을 때
if(acc.isEmpty()) {
acc.add(progresses[i])
continue
}
//첫 원소와 i번째 원소를 비교후 i번째 원소가 클 경우 배포
if(acc.peek() < progresses[i]) {
answer.add(acc.size)
acc.clear()
acc.add(progresses[i])
} else //아닐 경우 대기
acc.add(progresses[i])
//마지막 작업일경우 일괄 출고
if(i == progresses.size-1)
answer.add(acc.size)
}
return answer.toIntArray()
}
}
큐를 하나 만들어 줍니다. 스택을 쓰지 않는 이유는 첫 번째로 들어온 원소와 주어지는 원소를 계속 비교해야하기 때문입니다.
우선 맨 처음 없을 경우 큐에 추가하고 다음 루프로 넘어갑니다.
큐의 1번 값이 i번째 원소보다 작을경우( 큐에 넣은 작업이 먼저 끝나는 경우) answer리스트에 추가(배포)하고 큐의 내용을 비워줍니다. 이후 i번째 원소를 다시 넣어 비교할 수 있도록 준비해줍니다.
만약 큐에 1번 값이 크거나 같을 경우 i번째원소를 큐에 추가해줍니다.
마지막 작업일 경우 무조건 배포해야하므로 answer리스트에 추가해줍니다.
전체코드입니다.
import java.util.*
import kotlin.math.ceil
class Solution {
fun solution(progresses: IntArray, speeds: IntArray): IntArray {
val answer = arrayListOf<Int>()
var acc: Queue<Int> = LinkedList<Int>()
progresses.forEachIndexed { index, p ->
progresses[index] = ceil((100.0 - p) / speeds[index]).toInt()
}
for(i in progresses.indices){
//맨 처음 없을 때
if(acc.isEmpty()) {
acc.add(progresses[i])
continue
}
//첫 원소와 i번째 원소를 비교후 i번째 원소가 클 경우 배포
if(acc.peek() < progresses[i]) {
answer.add(acc.size)
acc.clear()
acc.add(progresses[i])
} else //아닐 경우 대기
acc.add(progresses[i])
//마지막 작업일경우 일괄 출고
if(i == progresses.size-1)
answer.add(acc.size)
}
return answer.toIntArray()
}
}
'코딩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픈채팅방(Lv.2) (0) | 2022.10.11 |
---|---|
프린터(Lv.2) (0) | 2022.10.10 |
n^2 배열 자르기(Lv.2) (0) | 2022.10.07 |
튜플(Lv.2) (0) | 2022.09.29 |
괄호 회전하기(Lv.2) (0) | 2022.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