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셀 수 있는 수량의 순서 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tuple)이라고 합니다.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튜플(n-tuple)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a1, a2, a3, ..., an)
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ex : (2, 3, 1, 2)
-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 ex : (1, 2, 3) ≠ (1, 3, 2)
-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
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a1, a2, a3, ..., an)이 주어질 때(단, a1, a2,..., an은 자연수),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 '}'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a1}, {a1, a2}, {a1, a2, a3}, {a1, a2, a3, a4},... {a1, a2, a3, a4,..., an}}
예를 들어 튜플이 (2, 1, 3, 4)인 경우 이는
- {{2}, {2, 1}, {2, 1, 3}, {2, 1, 3, 4}}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때,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
- {{2}, {2, 1}, {2, 1, 3}, {2, 1, 3, 4}}
- {{2, 1, 3, 4}, {2}, {2, 1, 3}, {2, 1}}
- {{1, 2, 3}, {2, 1}, {1, 2, 4, 3}, {2}}
는 모두 같은 튜플 (2, 1, 3, 4)를 나타냅니다.
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s의 길이는 5 이상 1,000,000 이하입니다.
- s는 숫자와 '{', '}', ','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 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s | result |
"{{2},{2,1},{2,1,3},{2,1,3,4}}" | [2, 1, 3, 4] |
"{{1,2,3},{2,1},{1,2,4,3},{2}}" | [2, 1, 3, 4] |
"{{20,111},{111}}" | [111, 20] |
"{{123}}" | [123] |
"{{4,2,3},{3},{2,3,4,1},{2,3}}" | [3, 2, 4, 1] |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3
(111, 20)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111}, {111,20}}이 되며, 이는 {{20,111}, {111}}과 같습니다.
입출력 예 #4
(123)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123}} 입니다.
입출력 예 #5
(3, 2, 4, 1)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3}, {3,2}, {3,2,4}, {3,2,4,1}}이 되며, 이는 {{4,2,3}, {3}, {2,3,4,1}, {2,3}}과 같습니다.
풀이
주어진 모든 부분집합에는 첫 번째 튜플이 들어가는 특성에 착안해서 풀었습니다.
s.split("{", ",", "}").filter{ it.isNotEmpty() }.toList().forEach{
if(!map.containsKey(it))
map[it] = 1
else
map[it] = map[it]!!.plus(1)
}
우선, 주어진 문자열을 정수 배열로 바꿔서 HashMap에 <튜플, 중복된 개수> 형태로 저장합니다.
map.toList().sortedByDescending { it.second }.forEach {
answer.add(it.first.toInt())
}
이후 중복된 개수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한 리스트를 반환합니다. 전체 코드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class Solution {
fun solution(s: String): List<Int> {
val answer = mutableListOf<Int>()
val map = LinkedHashMap<String, Int>()
s.split("{", ",", "}").filter{ it.isNotEmpty() }.toList().forEach{
if(!map.containsKey(it))
map[it] = 1
else
map[it] = map[it]!!.plus(1)
}
map.toList().sortedByDescending { it.second }.forEach {
answer.add(it.first.toInt())
}
return answer
}
}
다른 사람의 풀이
1.
class Solution {
fun solution(s: String): IntArray {
return s.substring(2 until s.length-2)
.split("},{")
.asSequence()
.map { it.split(",").map { num -> num.toInt() } }
.toList()
.sortedBy { it.size }
.fold(setOf<Int>()) { acc, list -> acc.union(list) }
.toIntArray()
}
}
하나하나 분석해보면
- substring(2 until s.length-2) : 처음과 맨 끝의 중괄호를 제거합니다.
- split("}, {") : substring 한 문자열은 xx}, {xx, xx}, {xx의 형태를 가집니다. 차례대로 끊어줍니다.
- asSequence() : 후술 할 Collection함수를 마치 하나의 회로처럼 원소 하나하나에 대해 작동하도록 만듭니다.
- map { it.split(", "). map { num -> num.toInt() } } : 부분 집합을 콤마로 끊어서 문자열 리스트로 바꿔줍니다.
- toList() : 중복된 표현이라 빼도 됩니다.
- sortedBy { it.size } : 크기순으로 정렬합니다. {{a1}, {a1, a2}, {a1, a2, a3}... {a1, a2, a3... an}}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 fold(setOf <Int>()) { acc, list -> acc.union(list) } : fold는 reduce와 같이 컬렉션에 있는 요소를 누적해서 반환하는 연산입니다. 빈 Set객체를 초기값으로 해서 acc에 크기순으로 정렬된 부분 집합을 union(합집합) 해줍니다.
- toIntArray() : 정수 배열로 리턴해줍니다.
2.
class Solution {
fun solution(s: String): IntArray = arrayListOf<Int>().apply {
s.split("{", "}", ",")
.groupBy { it }
.toList()
.sortedByDescending { it.second.count() }
.also {
it.takeLast(it.size - 1)
.forEach { add(it.first.toInt()) }
}
}.toIntArray()
}
groutBy를 사용한 예제입니다. 주어진 keySelector를 기준으로 Map을 만드는 함수입니다. 부분 집합의 원소를 key로, 중복된 문자열의 집합을 value로 반환합니다.
예제로 중간결과를 찍으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s : "{{20,111},{111}}"
groupBy결과 : [(, [, , , , , ]), (20, [20]), (111, [111, 111])]
이후 과정은 길이 순대로 내림차순 정렬 후 takeLast함수로 맨 끝부터 size-1 원소까지의 부분집합을 리턴해줍니다. 그냥 첫 번째 원소 자른 겁니다.
반복문으로 Pair <String, List <String>>의 첫 번째 값을 리스트에 담아 배열로 리턴합니다.
후기
asSequence(), groupBy(), fold() 좋은 함수 알아갑니다.
'코딩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능개발(Lv.2) (0) | 2022.10.09 |
---|---|
n^2 배열 자르기(Lv.2) (0) | 2022.10.07 |
괄호 회전하기(Lv.2) (0) | 2022.09.27 |
H-Index(Lv.2) (0) | 2022.09.26 |
예상대진표(Lv.2) (1) | 2022.09.21 |